주식 투자

미국 고배당주 - JEPQ ETF에 대해 알아보자!

월배당500만원 2023. 1. 23.
반응형

[배당투자] 미국주식 - JEPQ ETF에 대해 알아보자!

오늘은 2022년 5월에 탄생한 따끈따끈한 ETF JEPQ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JEPI는 많이 들었는데 JEPQ는 생소하신 분들이 많을 겁니다.
저도 그냥 이런 것이 생겼구나 하면서 지나쳤던 기억만 있는 ETF인데 공부를 하면서
자세히 뜯어보니 JEPI와 같이 든든한 월배당이면서 대략 연 배당이 13%정도로
JEPI보다 배당을 많이 주는 ETF입니다. 운용사도 JP 모건으로 안정성까지 갖추고 있는
JEPQ에 대해서 오늘 자세히 알아보고 투자할 때 장단점 등을 파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JEPQ ETF(JPMorgan Nasdaq Equity Premium Income ETF)란?

JEPQ는 위 영어의 앞글자를 그대로 따온 것으로 나스닥 풋 옵션, 콜 옵션 등과 같은 커버드콜로
수익을 얻는 ETF이며 수익을 주주에게 매달 배당금(분배금)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커버드콜이 무엇인지 궁금해하실겁니다. 간단하게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출처: 네이버 사전

네이버에서 사전적인 의미로 주식을 보유한 상태에서 콜옵션을 통해 비싼 가격에 팔아서 위험성을 줄이는 방식
여기서 옵션은 미래의 특정시기에 특정가격으로 팔거나 살 수 있는 권리 자체를 현재시점에서 매매하는 계약으로, 특정 주식을 살 수 있는 권리인 콜(call)옵션과, 팔 수 있는 권리인 풋(put)옵션으로 구분됩니다.

콜옵션 : 사고 싶으면 살 수 있고, 사고 싶지 않으면 미리 제공한 계약금을 파기하고 사지 않아도 됩니다.
풋옵션: 팔고 싶으면 팔고, 팔기 싫으면 계약금을 포기하고 팔지 않아도 됩니다.

보유한 주식가격이 하락해도 콜옵션을 매도하면서 받은 프리미엄만큼 손실이 보전된다. 반대로 주가가 상승할 경우 콜옵션 매도 부문에서 손실이 발생하지만, 보유한 주식가는 상승하므로 손실을 만회(covered)할 수 있다.
저도 경제 용어를 잘 이해하지 못하지만 주가가 많이 올라도 이익을 최대한 만들 수 있고 주가가 많이 떨어져도 주가방어를
할 수 있는 안전망을 하나 더 갖추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한마디로 정리>
나스닥에 들어가 있는 주식들을 커버드콜 전략으로 펀드매니저가 수익을 내서 매달 배당을 주는 ETF입니다.

2. JEPQ의 주가 및 배당금

출처: 더 리치

먼저 주가를 보시면 주가가 상장 51달러에서 최저 40달러까지 이 사이를 횡보하는 걸 볼 수 있습니다.
2022년 5월에 상장되었다 보니 주가는 계속적으로 하락했다가 현재는 약간 보합하는 것 같습니다.
현재 주식시장에 CPI도 안정화되어가고 밑바닥을 찍었다는 생각이 지배적이니 41~43$ 부근에서
매집해서 모아가시면 시세차익과 월배당금까지 괜찮은 투자가 될 것 같습니다.

728x90

다음으로 배당금 역사를 보겠습니다. 5월에 상장되어서 6월부터 분배금이 나왔습니다.
6~12월까지 배당금으로 평균을 내본 결과 월 평균 배당금이 0.46달러 정도 됩니다.
그걸 연 배당금으로 바꿨을 때 5.61 달러 정도 됩니다. 현재 42.74달러 기준으로 연 배당률은
세전으로 약 13%입니다. JEPI 세전 연 배당률 11.57%보다 약 1.5% 더 많은 배당을 받습니다.
S&P 500에 투자하는 JEPI와 NASDAQ에 투자하는 JEPQ를 분산투자한다면 12% 연배당으로
월에 약 1%의 배당금을 따박 따박 받을 수 있겠습니다. (저도 투자해보려고 합니다)

3. JEPQ의 투자 섹터

JP 모건이라는 우량한 기업에서 운용하는 ETF이고 보수도 JEPI와 똑같으며 더 우량한 나스닥에
투자한다는 사실만으로도 투자를 하고 싶은 마음이 생기지만 그 전에 나스닥의 어떤 기업에 투자하고
있는지를 알아야지 투자에 대한 확실성이 생기지 않겠습니까?
JEPQ이 어떤 섹터에 투자하고 있는지와 투자 종목 중에 상위 10개의 기업은 어디일지 알아보겠습니다.

<JEPQ 투자 섹터>

출처: JP MORGAN

가장 큰 섹터를 차지하는 기술분야 40%를 따라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13.3%, 소비제 12.7%로
JEPI와 비교했을 때 유난히 기술분야에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 결과로 현재 많이 떨어진
기술주로 인해서 현재 주가가 JEPI보다 10달러 정도 낮지 않을까 개인적인 추측을 해봅니다.
확실히 섹터가 분산이 제대로 되지 않아서 경제 위기에는 JEPI보다 주가방어가 더 어려울 것 같습니다.
2022년 5월에 상장하여 2021년 12월부터 버블붕괴된 기술주를 경험하지 못해서 아직까지
이 ETF가 경제 위기에 주가가 방어가 잘 될지는 의문입니다. (경험 부족)

<투자 상위 10개 기업>

출처: JP MORGAN

기술주 섹터가 거의 절반을 차지하다 보니 홀딩하고 있는 상위 10개도 거의 기술주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부터 애플, 구글, 아마존 마지막으로는 나스닥 지수에 투자되고 있네요.
일단 현재 기술주의 거품이 많이 꺼져있는 상황이니 찬찬히 살펴보시길 바랍니다.

4. JEPQ 장단점

앞써 JEPQ에 대한 설명과 함께 장단점을 알아보았습니다. 장단점을 다시 한번 정리하면서
마지막으로 점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장점

  • 지수추종하면서 월배당까지 주는 ETF이다.
  • 연 13% 배당률을 기록하기 때문에 배당세를 제외하고 매달 1%정도의 배당금을 받을 수 있다.
  • JP Morgan 사의 단단한 자본과 운영능력으로 안정성이 크다.
  • 주가가 현재 많이 떨어져서 들어가기에는 좋은 포인트이다.

2) 단점

  • 액티브 ETF이기 때문에 매니저들의 역량에 따라 수익과 주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월배당금이 들쑥날쑥이기 때문에 이 측면에서 안정성은 떨어진다.
  • 상장이 된 지 얼마되지 않은 ETF라 경제위기에 대한 경험이 없다.
  • 기술주 섹터가 절반이어서 경제상황에 더 영향을 받게 된다.
  • 커버드콜 특성상 대세 상승장에는 낮은 수익률을 보일 수 있다.

5. 결론

항상 그렇지만 투자는 자신이 공부하고 자신이 책임을 져야하는 영역입니다.
JEPQ가 배당률과 단단한 운용사, 지수추종 등으로 다양한 장점이 있지만 그만큼
위험한 부분도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저의 경우, 제 포트폴리오에는 나스닥을 추종하는
ETF가 없기 때문에 JEPI와 JEPQ를 같이 모아가려고 합니다.
여러분들도 JEPQ에 대해서 더 자세하게 알아보고 싶으시다면 밑의 링크를 통해
들어가신 후에 면밀히 따져보시길 바랍니다.

🔽🔽JEPQ 상품 소개🔽🔽

JPMorgan Nasdaq Equity Premium Income ETF-ETF Shares | JEPQ           | J.P. Morgan Asset Management

am.jpmorgan.com

반응형

댓글

💲 추천 글